instruction
stringlengths
1
96
input
stringlengths
0
2.48k
output
stringlengths
0
1.75k
L/C개설 했을 때 최종잔액이 의미 하는 것이 뭔가요?
예를들어 L/C를 $100,000을 최초에 개설하고 수수료도 냈는데, 후에 L/C최종잔액에 $3,000 이렇게 표시되어 있는건 L/C을 $100,000 개설 해놓고 실제 수입금액을 $97,000 만 했다 이렇게 보는게 맞을까요? 구매팀에서 최초 $100,000 개설했다가 수입품 결제하고 뱅킹 들어가서 보니까 L/C최종잔액 $3,000 이렇게 적혀있네요.. 고수님들 알려주세요
해당 건의 신용장 하에서 선적된 물품의 금액으로서 c/i amount를 확인 해 보시기 바랍니다. l/c 총액이 10만불이면 10만불 내에서 수출자가 선적할 수 있습니다.
수출자의 인도의무 완료
FOB,CFR,CIF 의 수출자 인도의무 완료는 매수인이 지정한 본선에 물품이 인도되었을때, CPT,CIP 의 수출자 인도의무 완료는 수입국에서의 첫 운송인에게 물품인도 되었을때 가 맞나요?
비용분기점과 위험분기점이 있습니다. FOB, CFR, CIF는 모두 on board 시점이 위험분기점으로서 선박에 화물이 on board되기 전에 사고는 수출자의 책임이고 on board 이후의 사고는 수입자의 책임으로 이전됩니다. CPT와 CIP는 수출지에서 포워더에게 수출자가 화물을 인도하는 시점이 위험분기점입니다. CFR, CIF, CPT, CIP는 비용분기점과 위험분기점이 다릅니다.
FOB & EXW 가격을 어떻게 계산해야 좋을까요?
저희는 제조업 수출업체인데 보통 거래는 FOB 부산으로 진행을 합니다. 최근 원산지 인증수출자 지원을 위해 이런저런 서류를 작성중에 있는데요. FOB 기준 가격의 제품을 EXW 로도 환산해서 가격을 업로드해야 하더라구요. EXW라 함은 FOB 부산으로 가는 운임비를 뺀 가격을 넣으면 될 것 같긴한데, 운임비가 대략 어느정도 되는지 파악하려면 어떻게 해야할지 감이 안오네요...
FOB Busan : 제품생산가 + 상차비용 + 부산항구 까지 운송비용 및 컨테이너 작업비용 + 부산항 발생 THC + 수출면장비용 EXW 생산공장 : 제품생산가 + 상차비용 이렇게 하시면 됩니다.
FTA관련 질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FTA적용 관련해서 문의사항 드립니다. ​ 저희가 4002.11 제품을 생산하고 있는데 유럽에 공장을 지어 같은 유럽 거래선에 Made in EU으로 공급하려고 합니다. 4002.11 제품은 비위험물이지만 위험물인 상태까지로만 한국에서 만든 다음 유럽공장에서 비위험물로 만들고 유럽 거래선에 공급하려 합니다. 제 예상으로는 위험물 -> 비위험물 로 바뀔 때 Hs 코드 변화는 없을 것 같고 현재 한국산으로 한-Eu Fta 인증 등록되어 있습니다. ​ 혹시 유럽공장에 4002.11 제품 납품 시 Made in EU 적용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EU내에서 제조한 물품을 EU내로 이동하는 것은 한EU FTA와 관계가 없을 것입니다.
품목별 원산지인증수출자 hs code 개정 건
​안녕하세요. ​ 매번 카페에서 도움을 받고 있는 신입직원입니다. ​ 한-아세안 fta 품목별 원산지인증수출자 보유 9401.30 ​ 이번 hs코드 개정으로 저희가 취급하는 기존 인증받은 9401.30 품목에서 9401.39로 개정되었는데 ​ 위 경우 새로 인증을 받아야 하는지 아니면 인증서 변경 없이 그대로 진행해도 되는지 잘 몰라 카페에 문의드립니다.
인증은 hs는 변경신청 하시면 됩니다 보통은 삭제된 hs는 그호로 따라가는 성향이 강하지만 추후 검증등 확인을 위해서는 변경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변경되는 동안 9041.39로 사용하셔도 무관하다고 생가가합니다
한중FTA 원산지증명서 단위 오류
​GT라는 단위를 써서 원산지증명을 못받아서 통관을 못하고있다하네요 ​ 주말이라 당장 정정발급을 할수도없구요. ​ 이걸 어떻게 처리해야할까요? ​ FTA 증명서는 단위오기재로 문제가되기도하나요?​
되게 깐깐한 세관이네요.. 화물 포장이 어떻게 되어있어요?? 찾아보니까 GT가 “기타 개수를 헤아릴수 있는 물품”이라서 상관없을 것 같은데… 포워딩?관세사?에서 말하는 이유가 더 없나요?? 근데 어차피 주말이라서 통관진행이 안될텐데 월요일에 빨리 수정하시거나 아니면 co적용없이 통관진행하시고 사후에 적용신청하시면 될 것 같아요…
인보이스에 기재된 FTA 협정 문구
​안녕하세요. 프랑스로부터 인보이스 받았는데, FTA 협정문구 없고, 수출자 서명없다고 관세혜택 못받아서 다시 프랑스 수출자에게 요청해서 서명및 FTA협정문구 기재된 인보이스를 요청해서 받았어요. 아래는 질문내용입니다. ^^; ​​ 1. 아래의 문구가 없어도 FTA관세혜택을 받을 수 있을지요? Country of Origin : French. EU/EC preferential origin state : Yes ​ The exporter of the products coverd by this document ~ 로 시작되는 문구만 적혀있어서도 FTA관세혜택을 받을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6000유로 이하는 상관없는데 이상이면 다 2의 문구+인증수출자 번호 적어야 하는 걸로 알고 있어요
LC 문구 해석 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LC에 아래와 같은 내용이 있는데요. ​ 어떻게 해석하면 되는건지 모르겠어요.. ​ BENEFICIARY'S MANUALLY SIGNED DETAILED PACKING LIST IN SIX FOLDS AND ONE COPY MARKED AS 'ORIGINAL'. ​ 패킹리스트 원본6+카피0 이렇게 해석하면 되는줄알았는데.. 뒤에 AND ONE COPY MARKED AS 'ORIGINAL' 라는게 걸리네요......
수출자가 수기 사인한 포장명세서를 요구하는데 6부와 original이라고 표기된 또 1부를 요구하는 거 같습니다. 저도 정확히는 모르겠으나 총 7부를 요구하는 거 같은데 은행으로 다시 체크 해 보세요. 중요한 것은 신용장 46a 조항에서 요구되는 서류는 최소 1부 원본이 제출되어야 하긴합니다.
구매확인서에 수출 금액이 원래 노출되나요?
이전에 공급자일 때 수출자로부터 구매확인서를 발급 받은 적 있는데, 구매확인서 상 16번 항목이 금액인데, USD 금액이 나왔습니다. ​ 현재는 수출자인데, 국내 공급자로부터 구매확인서 발급 요청을 받았습니다. 한번도 구매확인서를 발급해본 적이 없는데, 구매확인서 상에 수출금액이 원래 노출되나요?​
기본개념은 수출물품을 수출하여 외화획득하는 금액(수출매매계약서 금액, 수출신고필증 금액 등)의 범위 내에서 구매확인서 금액이 설정되며 구매확인서 금액 범위 내에서 국내 사업자 간 부가세 영세율 세금계산서를 발행할 수 있습니다.
수출면장 금액 정정...
안녕하세요 저희가 예전에 low value로 나간 건이 많아서 이번에는 금액을 높여서 신고하려는데 이전에 이런 적이 있어서 문제될 일은 없어요 근데 중요한건 제가 0을 빼고(1/10 가격으로 신고를 해버렸어요...) 수출면장을 발행해버려서 정정을 하려고 하니까 세무사무실에서는 계약서가 필요하다던데 계약서에는 기존 단가로 적혀 있고 저희 쪽에서만 따로 높게 신고를 하려고 했는데 이런 경우에는 계약서를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요...? 바이어한테 PI를 받았는데 다시 만들어서 달라고 해야 하나요...? 제가 임의로 만들어서 신고하는 방법은 없나요...
임의로 만들면 허위신고로 큰일나구요, 바이어한테 계약서를 수정해달라고하는게 가장 좋아요;
수출서류 작성 시 내륙운송비
안녕하세요, ​ 견적 작성 시 제품단가 정보와 내륙운송비를 기재하였습니다. 보통은 내륙운송비 가격을 제품단가에 포함시켜서 고객에게 제출하였습니다. Invoice, 수출신고필증 등에 금액을 기재해야하는데 내륙운송비 비용을 별도로 기재가 가능한가요? 고객은 어차피 내륙운송비 포함해서 저희에게 송금해주고 수출실적도 함께 등록이 되어야 하는데 내륙운송비를 특정한 모델에 포함시켜서 등록시키면 될까요?
FOB, C 및 D 조건 수출에서 C/I 단가에는 수출지 내륙운송비를 포함 시킵니다. 내륙운송비를 별도로 C/I에 표기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3국 무역 C/O 스위치 관련 문의합니다.
​안녕하세요. 중국에서 물건이 사우디로 나갑니다. ( 실 수출자는 한국) ​ 중국에서 CO 발행 후 한국에서 다시 한국 CO로 스위치 하여 바이어(사우디)에게 나가는데요. ​ 중국에서 CO발행시 CNEE를 저희로 하여 발행 후 , 한국에서 CO 스위치할때 실제 바이어를 CNEE 에 기재하여 나가고 있었는데 이게 맞지요? ​ 중국에 한 공장에서 자기네들은 실 CNEE를 기재해야한다고해서 ... 제가 여태 서류를 잘못하고 있었나 하여 여쭙니다..
중국에서 발행된 비특혜 C/O를 받아서 한국에서 c/o consignee를 한국에서 사우디로 대한상공회의소를 통해서 switch 가능할 것입니다.
선사에 운임을 지불하면 도착항에서 컨테이너 양하까지 해주나요?
선사에 운임을 지불하면 도착항에서 컨테이너 양하까지 해주나요? 아니면 해상운임비 따로 도착항에서 컨테이너 양하비용은 별도로 지불하는건가요?
B/L의 Port of Discharge에서 선박으로부터 B/L 상의 화물은 양하됩니다. 그리고 당해 컨테이너는 CY에 반입되고, 선사로 운송비 결제하면 선사가 D/O(Delivery Order)를 발행하면 CY는 화물반출(Cargo Release)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이때 consignee가 결제하는 운송비에는 해상운임뿐만 아니라 수입지 터미널에서 발생되는 컨테이너 양하비용으로서 THC 등의 터미널 부대비용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Wharfage(부두사용료)인상관련 질문있어요
포워딩 협력업체로부터 어제 WFG요율인상 공문을 받아, 관련내용 확인중입니다... ​ 22년 1월 1일부터 무역항 항만시설 시용료 규정이 개정되서 20피트당 1,920원>2,194원 40피트당 3,840원>4,388원 ​ 으로 요율적용된다고 공지받았는데, 이 부두사용료 인상은 포워더 마진과는 별도로 해양수산부 주관으로 요율 적용이 되는건가요?? 해마다 요율조정이 되는건지도 궁금합니다.
네 wharfage는 국가가 청구하는 부두사용료입니다. 따라서 비록 포워더가 화주에게 청구하지만 포워더가 취하는 이익은 아닙니다.
(번역)계약서 상의 payment 문구 관련
안녕하세요~ 대표님께서 위탁판매 업체의 해외계약서 검토를 하라고 하시는데 아래 두 문장은 어떻게 이해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 1.initiate debit or credit entries, 따로따로 직역하면 알겠는데 이게 어떤건지 정말 모르겠어요 ㅠ ​ 2.the initial $250 wholesale total sales generated from 수출회사 products sales during the term of this agreement will be counted towards 수입회사 onboarding and marketing expense and will not be remitted to the 수출회사.
1은 완전한 문장인가요? 저것만 놓고 해석하기 어렵습니다. 2만 놓고 보면 아래와 같이 해석하면 되겠습니다. 초기 비용 250$은 마케팅 비용 등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그 비용을 수입회사는 수출회사에 청구할 수 없다.
유럽 수출자와의 결제 관련
안녕하세요 ​ 저희는 보통 중국과 거래를 많이 진행했었는데요. 중국 수출자와는 보통 처음 계약금 30%, 그리고 생산완료 후 나머지 잔금 70% 이렇게 진행을 해왔습니다. ​ 이번에 유럽 국가와 거래를 진행하게 되었는데 독일 / 이탈리아 / 터키 이 세 나라 모두 처음부터 100% 전액 결제로 진행을 하네요. 보통 다 이런건가요? 바로 선적 가능한 건도 있지만 2-3개월 정도 기다려야 완료되는 거래건도 있는데 처음부터 전액을 모두 송금을 해야 하는지 의문스러워서요. 보통 유럽간 거래는 결제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궁금합니다.
저희 같은 경우는 신규 거래일 경우 T/T나 30days after invoice date로 수입해왔었습니다.
FCA, CFR 차이
항공으로 수입할때 인코텀즈 FCA INCHEON AIRPORT면 수출처가 부킹, 현지 내륙운송, x-ray charge 등, 현지 - 인천까지 운임료를 부담하는건가요? ​ 아니면 부킹해서 인천공항까지 떨궈주고 항공 운임료는 수입처한테 청구하는건가요? ​ fca면 노미 건인데 운임료 견적서가 수입처에 청구되지않나요? 근데 FCA는 수출처 내 지정된 장소에서 물건을 건네준다고 알고있어요
수입시 FCA incheon airport는 없고 그렇게 진행하시려면 CFR 로 진행하시는게 맞습니다. FCA 는 수출국의 장소가 되어야하며 그 이후 픽업부터 모든 일체 비용 부담하신다고 봐 주시면 됩니다.
싱가폴 해상운임
싱가폴 CIF건인데 ​ 전에 알기론 O/F 곱하기 CBM이 해상운임비로 알고 있었거든요 ​ 해상운임비 계산 어떻게 하나요?
정확히는 R.TON 이라고 합니다. 중량 또는 부피중 큰 쪽으로 계산 됩니다. 중량이 2000KG이고 볼륨이 1.5.CBM 이면 2R.TON으로 책정, 중량이 1000KG이고 볼륨이 2 CBM이면 2R.TON 으로 책정 됩니다. LCL 수출일 경우에도 CFS, THC 비용이 들어가며 역시 R.TON당 계산 됩니다. CIF면 해상운임 / CFS / THC / DOC / 내륙 트럭운송 / 수출통관비 / 적하보험 정도만 발행 하겠습니다.
중국에서 수입하는데, 원산지가 일본일경우 FTA는?
​​안녕하세요 카페의 여러글 검색후 아직 궁금한것이 있어 질문 합니다. ​ 수입하려는 제품의 본사는 중국입니다 . produce를 일본에서 한다고 합니다. 박스에 made in japan 이 적혀 있는듯 합니다 . 이 제품을 수입하려고 할 때 원산지 증명서는 일본에서 받아야 하는걸까요 ? 어떤 방법으로 중국에서 FTA를 받을수 있을까요 ?
선적국이 중국인데 원산지는 일본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한중 FTA 협정세율을 적용 받지 못합니다. 아울러 일본과 한국은 FTA 발효된게 없으며, 설령 발효되었고 원산지가 일본이라도 원산지 국가인 일본에서 선적되어 한국으로 direct 운송(직접운송) 되어야 fta 협정세율 적용 가능합니다.
삼국무역 선적서류 작성 문의
​삼국 무역시 서류 작성관련해서 문의드립니다. ​ A (고객-베트남) B (당사-한국) C (제조사-중국) ​ A-B, B-C간의 계약을 했고, 오더는 A->B->C로 진행이 되고, 물건은 C->A로 바로 운송예정입니다. ​ 1. 이때 Invoice 상의 Seller는 B로 하고, Consignee 및 Buyer는 A로 하면 되는 건지요? ​ 2. B/L은 어떻게 발행하면 되는지요?​​
1. 수입자에게 전달하는 서류는 1에서 말씀하신대로 하셔야죠. 2. B/L은 선사에서 선적인과 수하인이 각각 B와 A로 SWITCH 되도록 변경요청 하시면 됩니다. SWITCH의 구체적인 절차는 선사에 문의하시면 됩니다.
한중 FTA CO
안녕하세요 CO발급관하여 궁금한것이있습니다. 현재 중국에서 CO를 발급해주려하는데 어떤 옵션을 선택해야하냐고 하면서 사진이 왔는데 1번째 사진이 중아세안 FTA CO 2번째 사진이 한중 FTA CO 였습니다. 저는 2번으로 발급해달라고 요청을했습니다. 근데 중아세안 FTA CO와 한중 FTA CO의 차이점을 모르겠어서 그런데 차이점을 아시는분이 계실까요?
중국에서 들어오는경우 저희 거래업체들 모두 한중 FTA CO 로 받기 떄문에 중아세안의 차이점은 굳이 해당사항이 없을것같습니다. 다만 중국에서 중계무역 식으로 동남아등 수출되는건에 간혹 문의주시는 경우는 있었습니다.
구매확인서 수출근거서류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구매확인서 작성중에 있습니다. 외화표시수출계약서로 증빙하려고 합니다. 계약서에는 2,000대라고 써져있고 저희는 5월에 1,000대 먼저 수출 예정인데 2,000대라고 쓰여있는 계약서로 증빙해도 되는걸까요? ​ 아니면 선급금 받은 인보이스를 쓰는게 나을까요?
부가세 과세 상품 거래는 부가세 10% 일반 세금 계산서 발행해야하고, 영세율로 하려면 구매확인서가 먼저 발행되어야 하는 게 맞습니다. 물론 많은 회사들이 이를 무시하고 영세율 세금계산서 먼저 발행하고 구매확인서 발행하고 있긴한데 앞뒤가 맞지는 않습니다.
CO의 인보이스 날짜
​외국 업체에게 CO에 기재된 인보이스 날짜를 인보이스의 날짜와 동일하게를 수정해 달라고 하니까 ​ Please see below from factory: For the date, we can change to 26-Jun that we did the custom clearance for this shipment. And the date on CO should be before ETD, not ETD. ​ 이렇게 답이 왔네요. 이거 못바꾼다는 얘기인가요? 인보이스상의 넘버와 날짜가 CO상의 정보와 같아야 되는거 아닌가요? 28일로 바뀌어야 되는거 아닌가 싶은데.. ​ CO에 기재된 인보이스 번호와 날짜 ​ 인보이스 상의 번호와 날짜
C/O에 기재된 C/I 발행일은 한국에서 당해 C/O로 수입통관할 때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겁니다.
원산지 증명서 질문있어요!
​터키 제조사에 원산지 증명서를 보내달라고 해야하는데, 여기에 혹시 HS Code가 기입 되어있나요? 기입되어있다면 이게 필수로 들어가야 하는 내용인지도 알려주세요.
상기 답변처럼 비특혜 C/O인지 아니면 FTA 협정세율을 받기 위한 한터키 FTA C/O인지 확인 하셔야 합니다. 비특혜 C/O의 경우는 한국세관에 수출신고하여 발행된 수출신고필증이 있는 상태에서 상공회의소 무역인증서비스센터에게 발급 신청하시면 됩니다. 반면에 한터키 FTA C/O는 한국에서 수출되는 물품이 한터키 FTA 원산지결정기준을 충족했음을 제조사로부터 인정 받으면 아래의 문구를 C/I에 넣어서 발행하시면 됩니다.
실제 주소와 LC상 주소 다를 경우?
안녕하세요. 이번에 인도로 수출하는 건이 있는데 바이어 측에서 개설한 LC를 확인해보니 Beneficiary 란에 저희 회사명이나 나머지 영문주소는 맞게 왔는데 우편번호 숫자만 조금 틀려서 왔더라구요... 이런 경우 그냥 모든 선적서류에 주소 쓸 때 LC와 같게 맞춰만 주면 하자 안 잡히겠죠...? 어맨드 요청하니 바이어 측에서 그냥 진행하면 안 되겠냐고 하네요...ㅎㅎ
가능한 모든 서류는 정확한 정보가 들어가게 하시는 게 좋긴 합니다. 인도는 아니지만 파키스탄의 수출 건에서 상업송장(C/I) 수출자(shipper) 란에 기재되는 팩스에 대한 설명이 아래와 같으니 참고 해 보세요.
B/L에 이렇게 나와있는데 이건 FCL 인가요 LCL일까요??
B/L에 20' 컨테이너 넘버 나오고 SHIPPER'S LOAD, COUNT&WEIGHT, CY/CY라고 기재되어있습니다. SAY : PART OF (ONE) CONTAINER 이라고 되있는데 이게 FCL인지 LCL인지 헷갈립니다.
CY/CY가 B/L에 기재되었다는 것은 B/L을 발행하는 운송인의 운송 책임 구간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앞에 CY는 수출지에서 운송인이 화물을 인수한 장소이고 뒤에 CY는 운송인이 목적지에서 화물을 화주에게 인도하는 지점으로서 운송인은 해당 구간에서의 운송 책임이 있습니다. CY에서 화물의 인도와 인수는 컨테이너 단위 화물만이 가능하니 이는 FCL 조건입니다.
분할선적 B/L 문구 관련 질문 드립니다.
​분할 선적으로 나가는 B/L을 읽어보니까 아래와 같은 문구가 있더라구요. ​ SAY : PART OF THREE (3) CONTAINER(S) ONLY. SAY : THREE(3) CONTAINER(S) ONLY. ​ 같은 컨사이니에게 보낸 분할 선적 건이고 총 3대의 컨테이너가 나갔는데, 한 비엘에는 PART OF가 붙어 있고 다른 비엘에는 안 붙어 있네요. ​ 위 두 문장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say : part of three(3) container(s) only 가 기재된 b/l은 part b/l이 아닌가 싶은데, 아닌가요? 1 master에 house가 2개 이상 발생된 건으로서 1 shipper, 2 consignee, 혹은 2 shipper, 1 consignee 건이 아닌가요?
비엘 릴리즈
​중국에서 다른나라로 수출하는 삼국간 수출에서 중국 파트너가 비엘 릴리즈 할지 오비엘로 진행할지 물어보던데 비엘릴리즈라는게 어떤건가요..? 한국으로 선사 비엘을 보내줬을때 이런 표현을 쓰는건가요? fcl건이었습니다
해상에서 비엘은 유가증권 상태의 OB/L과 발행 당시부터 surrender 처리되어 화물 소유권을 포기한 SWB 중에 shipper가 택1합니다. 문의 받으신 내용은 ob/l과 swb 중에 어떤 것을 원하는 지에 대한 내용 같습니다. 참고로 surrender 처리된 것은 telex released라고도 하며, ob/l 발행 후 surrender처리하면 surrendered 혹은 telex released가 날인되고 애초부터 swb 발행되면 이러한 문구는 날인되지 않습니다.
입금 전문 LESS CHARGE 항목 알려주세요!
네고 후 입금이 되었는데 LESS CHARGE가 너무 많이 청구되어 은행에 문의햇더니 입금 전문을 보내주셨어요. ​ 근데 그 항목이 정확히 뭘 의미하는지를 모르겠습니다. ​ :72Z Sender to Receiver Information: /REC/TELEX CHARGE - BENEF USD50.00 //BENEFICIARY AMDTS USD50.03 //TRANSMISSION CHG-BEN USD25.02 ​ 각각 무엇을 의미 하는 건가요!?
Telex charge -Benef USD 50.00 -> 전신료(Swift 송부?) Beneficiary amdts USD 50.03 -> LC amend 요청하셨나봐요? LC amend가 Beneficiary 부담이네요. Transmission Chg-BEN USD25.02 -> 전송(송신) 비용, 통지수수료
LC 중 Tolerance 조항 관련
안녕하세요. LC 상 Tolerance 관련하여 39A Percentage Credit Amount Tolerance (+/-) 조항이 따로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 조항이 안 들어가있고 47A Additional Conditions 조항에 수량 및 금액의 과부족을 허용한다. 라는 문구만 들어가있어도 나중에 네고 진행에는 문제 없을까요?
네 47A 조항에 수량과 금액에 대해서 과부족 몇% 허용한다는 문구가 들어가도 45A 수량, 39A 총액에 대해서 과부족 허용한 것과 동일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그러나 굳이 47A 조항에 추가 조건으로 넣는 것보다 정상적으로 45A와 39A 조항을 활용하시는 게 명확할 듯합니다. 굳이 혼란을 초래할 이유가 없어 보입니다.
인천공항 통관 시 창고료 발생이 24시간 ? 72시간?
​안녕하세요 ​ 현재 화학물질 수입업무를 하고 있습니다 ​ 물건이 인천공항으로 입고되면 BL번호와 함께 통관하라는 내용의 연락이 옵니다. ​ 이 시간부터 24시간 이내로 반출해야 창고료가 안나가는지 3일 안으로만 반출하면 되는지 ​ 햇갈려서 문의드립니다 ​ 수입하는 물질은 일반화학물도있고 위험물도 있습니다.​
항공사 창고로 들어가는경우 24시간안에는 창고료가 저렴한편이나 시간이 넘어가는경우 대폭비싸집니다. 보통 늦게출고하는경우 항공사창고배정을 하지않으며 물류사 창고로 배정합니다.
수입신고시 과세해야하는 항목이 어떤게있을까요
안녕하세요 ​ 관련 지식이 많이 없어 배우고자합니다 ​ 수입신고시 운임에 포함해야하는 항목 고수님들 부탁드리겠습니다 필수로 과세항목은 알지만 아래쪽이 정확하게 구분이 안가서 도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관세의 과세가격 중 운임은 수입국 도착까지의 비용에 대하여 과세합니다. 첨부해주신 항목중 INTANSBUL EXW가 어떤 비용인지 설명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부두 사용료, 서류 발급비용, 컨테이너 클리닝 차지 등은 비과세 대상에 해당합니다. 마찬가지로 수입항 도착 이후의 터미널 핸들링 비용, D/O 발행 비용 등 역시 비과세 대상입니다.
반품 수입 건 일반 수입(거래구분 11) 신고
안녕하세요, 고객사의 반품 요청으로 인해 재 수입 진행 중인 수출업체 종사자입니다. ​ 저희 제품이 본래 관세 0%의 제품이라 관세사 측에서 임의로 일반 수입으로 신고를 진행하였는데 이 부분 혹시 세무적으로나 다른 측면에서 문제가 되는 부분이 있을까요? 크게 문제 되는 것이 없다면 빨리 제품을 받아야하는 상황이라서요. 비슷한 상황이셨던 분 있는지 찾아봐도 잘 검색이 되지 않아 질문 남깁니다.​
거래구분이 11일 경우 외환대금이 오가야하는 조건이므로 무상으로 정정하셔야 할 거 같습니다 정확하게는 재수입으로 면세하시고 부가세만 납부하는 걸로 정정하는게 맞습니다
한-중 FTA 원산지인증수출자 취득 절차 문의
안녕하세요 ​ 현재 한-베트남 신선농산물을 몇 년 간 수출 중인 업체입니다. ​ 이번에 처음으로 중국에 수출을 하게 되었는데 수출 건 마다 원산지소명서와 포괄확인서를 첨부하여 원산지 신청을 하고 있습니다. ​ 원산지인증수출자 자격을 취득하면 원산지소명서 및 포괄확인서 첨부를 안해도 되는걸로 알고 있는데 한-중 원산지인증수출자 자격 취득 절차 및 방법에 대해 궁금합니다.
품목별 인증수출자 말씀하시는 거 같습니다. 동일 품목의 동일 hs6단위라면, 기존에 한베트남 건에 대해서 인증수출자 신청할 때처럼 하시면 될 겁니다.
인도네시아 수출시 제품명..
​안녕하세요 식자재 수출회사에서 일하고 있는 새내기 입니다. 이번에 인도네시아로 수출을 진행을 하는데 챙겨야할 서류가 많더라구요.. KSO 검사를 진행하는데 KSO 검사시 진행하는 제품명이랑 인도네시아로 보내주는 COA랑 영문 제품명이 일치해야 하나요? 인도네시아의 ML등록시 등록된 제품명이랑 제조사측으로 받는 COA랑 영문명이 달라서 난감합니다.. ​ 통관시 문제가 없는지.. ( 원산지, 면장, CI,PL은 KSO 제품명 기준으로 작성중입니다.)
답을 구하셨는지 모르겠네요. 특히나 인도네시아 세관은 보수적이기 때문에 모든 서류의 내용은 일치 시키는 게 좋습니다.
한-페루 FTA (B/L)
​안녕하세요 이번에 페루에서 물품을 수입하는데 b/l 상의 port of loading : 페루 port of discharge : 환적지 place of delivery : 한국 ​ 이렇게 되어있습니다. 저희가 L/C로 오픈한지라 port of discharge를 고쳐달라고 했는데 수출처에서 만약 수정이 안되면 본인들이 하자피를 받겠다고 했습니다. ​ F TA 협정으로 관세가 0%인데 문제가 없을까요?
1. 한국은 항구를 보유한 국가이기 때문에 B/L port of discharge는 반드시 한국의 항구가 되어야 합니다. 2. L/C 내용 수정안되면 하자 발생이 문제가 아니라 수입국에서 FTA 협정세율을 적용 받지 못합니다.(직접운송 원칙 불충족)
기계 무상 수출
안녕하세요? 브라질로 마스크 생산 관련 기계2대(금액 약 360백만원)를 보낼려고 합니다. 그런데 조건이 기계를 현금이나 LC개설로 하는 것이 아니고 현지 생산후 5년동안 매출액의 일정 부분을 한국으로 송금하는 조건으로 원합니다. 이 경우 기계를 통관할 수 있는지, 그리고 가능하다면 어떤 절차를 거쳐야 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임대차 거래로 수입신고 할 수도 있겠으나, 한국이 수입지인 경우에는 임대차 계약 무시하고 수입신고하여 세액 납부 정상적으로 하는 것으로 압니다. 수입지가 한국이 아닌 타 국가로서 해당 수입지 관세법과 관행을 알아야 하니, 해당 국가의 관세사(통관사)를 통해서 확인 하셔야 할 겁니다.
AMS 외 국내 수출 EDI 신고 관련 문의
안녕하십니까 선배님들. ​ 실무 진행하고 있는 포워더입니다 ​ AMS 외 국내 세관에 신고하는 EDI 관련 문의 드리고자 글 남깁니다. ​ 하와이 향 1MASTER 2HOUSE AMS는 선사 대행 진행 예정입니다. ​ AMS 신고와 별개로 EDI 신고도 진행하는 것이 맞는 것일까요? ​ 미주 향은 처음 진행이라 헷갈리네요.. 당연히 EDI신고는 HOUSE 진행 시 신고 진행 하는 것이라고 생각은 하는데 확실하지 않아 찝찝한 마음에 문의 남깁니다.
네 EDI와 AMS는 다른 거에요~EDI는 국내 세관에 신고하는거고 AMS는 미국에 신고하는 사전신고제도로 생각하시면 됩니다~무조건 둘다해야해요~!!!!!
수입필증상 인코텀스가 잘못 기재 됐는데 수정이 필요한가요?(이미 통관, 송금 완료)
5월 마감을 하다가 인보이스 인코텀스가 잘못 기재돼 수입면장도 잘못 기재가 됐더라구요ㅠ 원래는 CFR인데 EXW으로 잘못 기재 됐습니다ㅠ 이미 통관도 완료했고 수출상에게 송금도 완료했는데 꼭 수정 해야하나요?ㅠ
보통은 정정 하는 것이 맞습니다 CFR인데 EXW으로 잘 못 신고 된거라면 운임이 이중 과세처리되었다는 것입니다 정정하시고 과다징수액만큼 환급을 받으시던지 그냥 두시던지 택일하시면될거 같습니다 환급 금액이 얼마되지 않는다면 번거롭게 하지 마시고 그냥두시는걸 추천드립니다
3국 수출시 BL 작성법 질문드려요!
안녕하세요~ bl 용어가 헷갈려 도움을 받고자 질문드립니다ㅠ ​ 질문 1. 베트남 소재 A업체와 수출 계약 후 인도네시아 소재 B 업체로 물품을 선적할 경우 BL상 consignee 및 notify party는 누가 되나요? ​ ex. shipper 한국 소재 업체 consignee 인도네시아 소재 B 업체 notify party 베트남 소재 A​ ​ 질문 2. 상기 BL이 switch될 경우 하기와 같이 BL이 발행되나요? shipper 베트남소재 A 업체 consignee 인도네시아 소재 B 업체 (단, 선적국은 여전히 한국으로 표시됨)
질문 내용은 아래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으니 차근차근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house b/l ? b/l 관련 문의드립니다ㅠ
​LC상 아래와 같이 나와있는데 ​ +Full set clean original on board bill of lading indicating the name of the carrier made out to order and blank endorsed marked freight prepaid ​ 현재 비엘이 포딩에서 발행한 HOUSE B/L 같은데 아래 B/L로 진행시 하자가 날까요? & indicating the name of the carrier 라고 표시되었는데 디스크립션에 명시하여주는게 좋을까요...?
제시 문장은 포워더가 발행하는 house을 금지하는 문구는 아니라고 사료됩니다. 그리고 b/l consignee에 to order를 기재하고 shipper가 백지배서하여 은행으로 b/l 3부를 제시하면 됩니다. 또한 b/l에 freight prepaid가 날인되어 있어야 하며, on board date가 별도로 기재되어 있어야 합니다.
Demurrage, detention, free time…디머리지 디텐션 질문이요
안녕하세요! 무역 실무 초보입니다. ​ 디머리지+디텐션 combine 추세라고 하는데 디머리지+디텐션 combine으로 14일을 받았다면, 실제로 필요한 시간은 디머리지 14일, 디텐션 7일 이라고 한다면 디머리지가 7일 더 초과되는건가요? 아니면 디텐션이 7일 더 초과되는 건가요?
combine 건으로서 14 free time 받으셨다면, CY 반입일을 기준으로(DEM 발행 기준이 CY 반입일 일때) 수입자가 컨테이너 인수해서 화물 적출 후 반납지 CY반납 할때까지 14일 이내에 반납 하시면 비용 발생되지 않는다는 개념으로 보시면 될 겁니다.
면장에 결제금액과 신고금액(FOB)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 수출업무가 요번에 처음이라 궁금한게 많습니다... ​ 수출면장에서 결제금액이 CIP 혹은 CFR인데 총 신고가격은 왜 FOB인지 알 수 있을까요? ​ 원산지 증명서는 왜 FOB만 되는건가요?
1. 수출신고필증 양식 자체에 총신고가격(FOB)란이 있는 것이며, 총신고가격을 기준으로 관세사 수수료 계산, 간이정액환급액 계산, 수출통계 계산합니다. 2. 부가가치기준 계산할 때, RVC인 경우는 FOB 가격 기준인데, 그 이유를 묻는다면 딱히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 FTA 협정에서 그렇게 규정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터미널 Storage free time 관련
​안녕하십니까. ​ Storage free time 관련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 터미널에서 Standard Tariff 상의 기간보다 Storage Free time을 길게 주는 경우가 있나요? 기간을 터미널에 재량에 따라 길게 주는건지... 선사에 따라 달라지는건지 궁금합니다. ​ 같은 물량을 다른 날짜로 수입한 건이 있는데 Storage Free time 각각 4일/10일로 기간이 달라서 여쭤봅니다. ​​​
확실한 것은 아니지만 선사가 투자하여 지분을 가진 터미널이라면 선사에 요청했을 때 터미널 운영사가 storage free time을 조정해주는 경우가 있긴 한 거 같습니다. 그리고 storage free time은 컨테이너의 종류(일반, 냉동, fr 등)와 사이즈에 따라서 다르게 적용됩니다.
수출했을때와 재반입시 가격이 다를때 수입통관 문의
안녕하세요 현재 DHL을 통해 수입 통관을 진행하려고 하는데 문의사항이 있어 질문 남깁니다. 수출당시에는 물품 가격이 개당 $25였는데, 현재는 $20입니다. 그래서 보낸쪽에서 인보이스를 개당 $20에 맞춰서 작성해 보냈는데, DHL 수입통관정보 온라인 제출 시스템에 수출신고필증이랑 수입승인면제사유서를 등록하려고 보니까 가격이 차이가 나 신경이 쓰입니다. 수출 당시의 가격으로 수입신고를 해야하는건지, 바뀐 가격으로 신고해도 되는지 문의 드립니다.​​
단순 재반입이면 최초수출 시 가격으로 수입신고 하는 것이 맞아보입니다..^^;
적재지검사 관련
​안녕하세요 적재지검사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 적재지검사는 카고마감 전에 진행하는거죠? 카고마감 후에도 가능한가요?​
선사/포워더가 화주에게 제시하는 cargo closing time은 수출신고 건에 대한 세관 적재지 검사와 관계 없이 제시된 기한 이내에 반입지에 반입되어야 하는 것으로 압니다. 그리고 doc closing time까지 수출신고필증 나와서 EDI 신고 해야하는데, 적재지 검사가 지정되더라도 수출신고필증은 먼저 나옵니다. 단, 적재지 cy에서 fcl 건 seal을 제거하고 다시 채워야하니 포워더 측에서 적재지 검사 후 변경된 seal no.를 확인하여 EDI 신고한 건에 대해서 정정하실 수 있다고 압니다.
DAP POD 도착 후 트러킹 전에 파레트 작업 가능한가요?
이미 몇일전 출항은 한 선적건인데 포워더에서 급하게 인폼이 오길 도착지 측에서 파레트 작업을 하지 않은 화물은 트러킹 진행하지 않으며, 만약 진행하려면 더 비싼 비용으로 단독 배차를 진행해야 한다고 합니다. 이 경우 목적지항에 도착 후 팔레트 작업을 진행해달라고 할 수 있나요?​
CFS에 pallet 작업 요청할 수 있은데 저 같은 경우는 선적지 CFS에서 pallet 작업해봤고 목적지 CFS에서는 해보지 못했습니다. 당시 1 pallet 당 작업비 5만원 정도 청구된거 같습니다. 포워더를 통해서 콘솔사에 목적지 CFS에서 pallet 작업 가능한지 가능하다면 얼마인지 확인 해 보셔야 할 거 같습니다.
포워더 항공/해상 견적 네고 얼마에 한번씩 하세요?
안녕하세요 수출입 많은 회사에 다니고 있는데요 그냥 포워더 하나 정해놓고 사용하고 있는데, 항공/해상 견적 네고나 비교는 보통 얼마 주기로 하시나요? 궁금합니다!!
정해진건 없을 겁니다. 회사 규모에 따라서 비딩하는 업체도 있고, 어떤 업체는 정말 건by건당 비교하는 경우도 봤습니다. 담당자가 누구냐 그리고 회사 관리자가 누구냐에 따라서 다른거 같아요. 중요한 것은 포워더가 어떤 지역, 어떤 운송 방법과 루트 및 상품에 특화되어 있는지 그리고 포워더의 규모와 자금 흐름, 업계에서의 위치, 영업사원과 내근직 직원의 능력 등 모든 부분을 고려해볼 필요는 있긴 할 겁니다.
수입할때 통관 비용에 대한 내역서에 어떤건 부가세가 붙고 어떤건 안붙는건 무슨차이인가요
관세사사무소에 서류뗏을때 보니 thc,wfg 이런건 부가세가 안붙어서 오던데 ​ 통관비 이런건 부가세가 붙더라구요 ​ 무슨차이이고 어떻게 구별하나요
1. 부가세 영세율이 부가가치세법 상 명백하게 적용되는 항목은 국제 해상/항공 운임입니다. 그리고 부대비용 중에 wharfage는 국가가 청구하는 비용이라서 부가세 면세 항목입니다. 2. 국내 부대비용에 대한 영세율 관련 내용은 분쟁이 있는데, 아래 국민신문고 질의답변 내용 확인 해 보시면 부가세 과세 대상이라고 나옵니다.
특송 건의 관부가세 납부자 변경과 관련 문의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업무를 진행하다가 궁금한 점이 생겨 문의 드립니다. ​ 무상 샘플 건을 특송으로 진행한 건이 있는데, 과세되어 관부가세가 부과 되었습니다. 그런데 해당 건의 운임비 및 관부가세는 쉬퍼에게 청구되는 조건이어서 당사가 관부가세를 납부하는 것으로 변경하고 싶어 특송사인 페덱스에 문의를 하였고, 페덱스에서는 이미 대납 처리되어 세금계산서까지 발행이 완료되어 변경이 어렵다고 합니다. 이럴 경우, 본 건의 관부가세 납부를 당사로 변경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통관전에 조치를 취했너야합니다. 지금은 변경하기가 어렵습니다.
수입 관련 문의
안녕하세요 수입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 문제상황 ) 자사는 A사(외국) 물건을 구매하기 위하여 'A사 코리아'를 통해 물건을 구매함. 송금은 원화로 'A사 코리아'에 입금했고, 세금계산서도 발급 받았음. 물건은 A사(외국)으로부터 DDP조건으로 들어옴. ​ 1. 이때 수입처리로 들어오나요? ​ 2. 그렇다면 이것은 A사 본사와 거래를 하는 것인가요? 아니면 A사코리아와 거래를 하는 건가요? (PO,INVOICE는 모두 A사 코리아와 자사간의 거래로 기록되어있어요. 그래서 이게 수입인지 아닌지 잘 모르겠어요)​​
A사 코리아 이름으로 수입해서 귀사로 납품하는 루트로 보입니다.
원산지증명서 FOB VALUE 질문
FOB조건으로 수출하는데 실제금액과 수출신고필증 상의 FOB 신고가격이 다릅니다. ​ FOB조건 거래금액: $999.90 수출필증 FOB신고가격: $1,000 ​ 관세사에서는 원래 신고가격에 소수점은 기재가 안된다고 하네요 ​ 근데 원산지증명서 상에 FOB VALUE를 기재해야하는데, 수출신고필증 상의 신고가격을 적으라고 되있어서요..ㅠ 원산지증명서 FOB VALUE가 실제 FOB금액이랑 상이해도 괜찮을까요? 수출국은 인도입니다.​
송장의 FOB로하시면됩니다상대국에 국내 수출필증을 확인하지 않고 송장으로 확인합니다
L/C 선적 통지서 작성방법 문의
안녕하세요! 카페에서 많은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이번에 L/C를 진행하게 되었는데, ​ 11. The shipping documents required for negotiation are: (1). Commercial Invoice - 03 originals. (2). Packing List - 02 originals. (3). Clean on board Bill of Lading – 03 originals and 03 copies (4). Certificate of Origin issued by Seller/Manufacturer - 03 originals (5). Certificate of Quality in 03 originals by manufacturer’s laboratory (6). Shipment Advice showing manufacturer, cargo production date and expiry date in 01 original. ​ -> (6)번 선적 통지서는 어떤 식으로 작성하면 되나요? 그리고 다른 서류들과 취합하여 은행에 제출하면 될까요?
shipping advice 참고 양식은 아래와 같으며 신용장에서 요구한 내용을 기재하여 발행하시면 될 겁니다.
삼자간 거래시 선적서류 문의
질문있습니다 셀러 A (싱가폴) 바이어 C (한국) 제품 B (말레이시아) 일경우 자금은 한국에서 싱가폴 물건은 말레이시아 에서 한국으로 이동시 인보이스 작성은 어떻게하는건지 문의드립니다ㅜ
B와 A가 계약하고, A가 마진 붙여서 C에게 판매하는 구조입니다. 따라서 B가 A에게 C/I 발행(shipper B, consignee A)하고 A가 마진 붙여서 shipper A, consignee C로해서 C/I 발행합니다. 따라서 돈의 이동은 C > A > B입니다. 돈의 이동은 C/I로 확인하고 화물의 이동은 B/L로 확인합니다. 따라서 B/L pol은 B국가, pod는 C국가의 항구가 되겠습니다.
무상 수출시 인보이스는 어떻게 작성하나요?
수출할게 있는데 유상 거래물품이 있고, 무상으로 주는 물품이 섞여있습니다. 원래 유상으로 계약한 물건인 만약에 100달러치만 수출한다고 하면, 인보이스에다가 이 100달러치 물건만 기입하면 되겠지만... 무상으로 공급해주는 물건이 추가된다면...그냥 금액칸에는 빈칸으로 넣고 비고란에다가 Free charge ? 라고 적으면 될까요 ?? 아니면 무상 물품에도 금액을 적지만 총 계약가 100달러를 넘지않게만 조정하면 될런지요 ??
유상,무상으로 둘다 진행시 유상거래가 우선입니다. 그리하여 무상은 모델,수량 적으시고 free charge 표기하시면 됩니다.
재 수출건
안녕하세요~! 저희 회사는 3각무역을 하고 있습니다. 제조국 -> 한국 -> 홍콩으로 합니다. 지난주 dhl을 통해 한국에서 홍콩으로 수출(수출시 수출면장 거래구분 11)을 하고 홍콩에서 수령한 제품중에 1개가 파손되었다하여 한국으로 1개만 반송(수입면장 거래구분 87)하였습니다. 홍콩에 파손된 제품과 동일한 새 제품 1개를 다시 보내줘야하는데 거래구분은 어떻게 해야할까요..?.. sample이 아닌 일반 11로 수출하면 되는걸까요..?
같은 질문을 하시지 않았나요? 지워진거 같네요 대체품(replacement) 수출은 거래구분 90(수출된 물품이 계약내용과 상이하여 반출하는 물품)이 적절해 보입니다.
FCA in Taiwan 경우안
안녕하세요. INVOTERMS FCA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현재 대만에서 수입하여 한국 고객사에 납품하고 있는데(DAP), 거래 item을 고객이 인도네시아 현지공장으로 Dropship으로 변경하려하는데 거래조건을 FCA in INDONESIA로 해 달라고 합니다. FCA in TAIWAN은 가능하고 이해 되는데, FCA in INDONESIA로 표현이 맞는지요? FCA in INDONESIA면 DAP in INDONESIA 요청인것 같은데 맞는지요?​
인도네시아가 수입지이면 FCA indonesia는 적절하지 못한 표현입니다. EXW, FCA, FOB 뒤에는 선적지의 장소가 지정됩니다. 그리고 인코텀스 뒤에는 국가명을 넣지 마시고 해당 국가의 정확한 장소를 넣어야 분쟁이 없습니다.
포워더로부터 스케줄 받았는데...문의 드려요!
documents cut-off cargo cut-off etd pus eta lgb carrier Ic# ​ 아직 새내기라서요 정말 정말 죄송한데 etd와 eta만 정확하게 알아서 나머지 명칭들 알 수 있을까요?? pus는 약자같은데 모르겠어요 lgb두요...​
DOCUMENTS CUT OFF: 서류마감 11월 23일 17시 CARGO CUT OFF: 화물마감: 컨테이너가 터미널에 11월 24일 24시까지 반입 ETD PUS: 출항지 부산항 ETA LGB: 도착지 롱비치항(미국) CARRIER: HDMU 선사 현대상선 IC# : 이거는 포워더랑 확인을 한번 해보셔야 할거 같아요
전파 관리대상물 수입시
안녕하세요 질문 드립니다. ​ Interface ethernet 이라는 저희 회사 제품 수리에 필요한 파트를 수입해야하는데 전파법 때문에 적합성 평가를 해야하는 상황입니다. ​ 특이사항으로 해당 부품이 들어가는 완성제품은 ETL 인증, 해당 부품은 CE 인증이 되어있습니다. (pc사용불가,산업용 부품입니다.) ​ 질문은 1. 이 경우 적합성 평가 면제가 가능할까요? 2. 면제가 안된다면 대행업체에서 진행하면될까요?​
1. 국외에서 통용되는 인증이 되어있더라도 수입시엔 국내기준에 따라 적합성평가를 받아야 합니다 따라서 면제대상이 아닙니다 2. 네 대행업체 통해서 하셔도 되고 직접하셔도 될겁니다
원산지증명서 발급 수수료- 관세사통해 진행시
원산지증명서 발급시, 상공회의소나 세관에서 발급 혹은 자율발급으로 진행하는걸로 알고있습니다. (정확한 관리차원) ​ 이럴 경우,관세사에서 보통 원산지증명서 발급 수수료에 대해 보통 얼마 청구하나요 생각보다 비싸서, 적정한지 확인코자합니다. ​ 대략적으로 안내해주세요
원산지 증명서 처음세팅하면 ..복잡성에 따라서 5~10 그이상 받는 경우도 있구요. 간단하면 보통 5만원 정도 첫 세팅시 요청하시던데 이것 또한 정해진게 없고 원산지 증명서 귀찮아서 안해주는곳도 많아서 가격을 논하기 애매하긴 합니다.
원산지 인증수출자 연장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번 4월 5일자로 유효기간이 만료 되어서 연장 신청을 하려고 합니다 (HS CODE 2항목) ​ 질문 1. 전임자분께서 처음 인증신청 하셨던 자료가 남아있습니다. 2015년도 BOM, 원산지소명서, 원산지 포괄확인서 등등을 동일하게 사용하여도 되는건가요? 아니면 아예 백지상태로 제가 다시 해야하는건가요? 갱신 기간이 없고 세부 내역이 동일하다면 사용 하여도 무방한것일까요?​
넵, 저희는 이전자료 쓸 수 있는 건 전부 활용했고, 중간중간 업데이트 원재료만 추가하고,빼고 했습니다~ 굳이 백지상태로 할 필요는 없습니다~
보세구역 반입 관세 환급금 반환해야 할까요?
​​안녕하십니까 ​ 저희 회사에서 보세구역 반입증으로 관세 환급을 받았습니다. ​ 그런데 진행중에 보세구역사와 소통 이슈로 인해 환급 받은 제품들이 국내 제품으로 관리 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았습니다. ​ 이런경우 관세 환급금을 반환해야 할까요?
환급을 받기 위해서는 내국물품 반입확인서 및 발주서등이 필요합니다 환급이 됐다는건 보세창고에서 반입승인을 한것으로 환급에는 문제가 없다고 판단됩니다 보세창고에서 국내물품으로 사용하는 경우 창고에서 과세통관후 사용하면 문제는 없습니다 정확한건 별도 검증해봐야하지만 추론으로 이렇게 보입니다
DHL/FEDEX 등 이용 시, commercial invoice에 운송비 기재 여부
안녕하세요. 수출 진행중에 궁금한점이 생겨 질문 드립니다. 현재 회사에서 수출 시 거의 DHL / FEDEX 를 이용중인데 commercial invoice에 DHL / FEDEX 운송료를 기재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기존 담당자가 진행했던 건들 살펴보니 어떤 건은 commercial invoice에도 기재를 했고, 어떤 건은 기재를 안했고 규칙이 안보여서요.. 운임조건 따라서 달라지는건가요? 참고로 일부 업체는 선수금을 받은 후 물건을 출하하고, 일부 업체는 물건을 보낸 후 30 days from invoice date 등 외상으로 진행하기도 합니다.
물품비용 말고 운송료까지 대금결제 받아야 하는거면 인보이스에 기재 합니다
수입할때 선적서류들은 콘테이너에 같이 싣어서 보내나요?
안녕하세요 수입할때 B/L이나 C/I 패킹리스트 같은 서류들은 콘테이너에 같이 싣어서 보내나요?
선적서류를 화물과 함께 발송하는 게 필수는 아닙니다. 선적서류를 스캔해서 이메일로 수출자가 수입자에게 shipping advice해주고 원본은 TT일때는 dhl로 수입자에게 바로 보내고 D/P, D/A, L/C와 같은 거래는 은행으로 제출합니다. 그리고 선적서류를 화물과 함께 발송하는 일은 선택적으로 하시면 됩니다. 항공에서 Original AWB가 발행되면 for consignee가 날인된 AWB는 화물이 선적되는 항공기에 별도로 파우치에 동봉되어 발송되기도 합니다.
BL에 선적일이 기재 안되어 있는 경우
포워더마다 기재 되어 있는곳도 있고 없는 곳도 있는데 필수 사항이 아닌가요 ?
해상 b/l에는 반드시 on board date가 기재되어야 합니다. 없으면 화물 수취증에 불과합니다. 이유는 해상 b/l은 화물이 선박에 선적된 이후에 운송인이 화물이 정상적으로 선적되었다고 화주에게 확인하는 개념으로 운송인이 화주에게 발행하기 때문입니다. 반면 항공에서 AWB는 별도의 on board date가 별도 날인되지 않고 필요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AWB는 콘솔사가 발행해서 화물과 함께 항공사에 접수하고 항공사가 화물을 이후에 항공기에 선적해줍니다. 따라서 AWB에는 on board date가 별도로 날인되지 않고 필요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T/T 도 TO ORDER 지시식으로 BL 가능한가요
T/T는 기명식 STRAIGHT로만 진행해와서 보통 SURRENDER 발행했습니다. ​ 그런데 이번에는 바이어가 T/T 인데 TO ORDER 지시식으로 요청했네요. ​ 이럴경우 포워더에게 OB/L 발행 요청해야 하는게 맞나요? ​ 개념이 무엇이며 이럴때 어떻게 해야하는지 자세한 답변 부탁 드립니다.
지시식이면 OBL이 있어야 하는 것이 맞고요, TO ORDER 다음에 아무 것도 없이 그냥 TO ORDER로만 되어 있나요? 그렇다면 귀사에서 BL에 백지배서해서 수입자에게 송부하면 됩니다. T/T 조건에서 컨사이니를 TO ORDER로 지정했다면 아마도 수입자가 화물 소유권을 제3자에게 넘기는 뭔가 복잡한 사정이 있을 듯 합니다.
보세구역관련 문의드립니다.
​무역초보자입니다. 아래내용 문의드립니다. ​ 1. 중계무역으로 보세구역으로 입항하게되면 따로 관세청에서 보세입항 관련 발급해주는 서류가 있을까요? ​ 2. 보세구역으로 입항한 경우에도 B/L 번호로 UNI PASS에서 조회하여 상태 확인가능한가요? ​ 3. 중계무역으로 보세구역에 입항후 다른나라로 수출하는 경우에 관세청에서 발급해주는 서류가 있을까요?
1. 별도로 없는 듯합니다. 2. 네 b/l no.로 유니패스에서 조회 가능할 것입니다. 3. 중계반송 신고 하시면 세관에서 사유서와 입증서류 제출 요구할 수 있으며 수리되면 반송신고필증 발행됩니다.
20FT/40FT/40HQ 적재가능CBM 이 수치가 맞는지 확인부탁드립니다
20FT 25~27CBM ​ 40FT 50~55CBM ​ 40HQ 58~63CBM ​ 데드스페이스 감안할시 저 정도 수치로 알고있는데 40HQ의 경우 72~3CBM 까지도 적재가능하다고 하는데 헷갈려서 여쭤봅니다
컨테이너 길이 폭 높이를 미터로 고쳐서 곱하면 내부 전체 공간의 cbm 값이 나옵니다. 20피트는 5.9미터, 2.35미터, 2.35티터 정도되니 곱하시면 33cbm 정도 나옵니다. 물론 화주의 화물의 특성과 포장방법에 따라서 dead space가 발생됩니다.
EXW / FOB
​처음 거래하는곳에서 물건을 수입하려고 하는데요 ​ 그동안은 항상 해외에서 알아서 택배로 보내줘서 (페덱스나 유피에스 등) 어디 배송 이용할건지만 정해주면 됐었는데 이번에는 EXW 이랑 FOB를 물어봐서요. ​ 만약에 페덱스로 운송한다고 하면 굳이 EXW,FOB를 정해야 할 필요가 있나요 ? ​ 그냥 택배로 보내면 되는거 아닌가 궁금해요..!!​
courier service (fedex/dhl/ups 등) 을 이용한다면 FOB/EXW 기준이 상관없습니다만 오더의 volume 이 커져서 courier를 사용하지 않고 포워딩을 끼고 진행하게 된다면 들어가는 돈이 다릅니다.
인천공항 수출화물입고
안녕하세요! 인천공항에 수출화물 입고하는 것에 대해 궁금합니다. 포워딩에서 견적받았는데 약간 비싸게 느껴지는 것 같아 따로 좀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그냥 퀵이나 일반용달업체에 알아보면 되나요? 공항에 화물입고 목적으로 출입하는 차량은 허가라던가 뭐가 있어야 하나요? 그리고 입고지가 어디인지, 가서 누구한테 연락해야 하는지 등은 그때그때 다른거죠? 포워더분께 여쭤봐서 해야하죠?
기본적으로 까르네 재수출이 아닌경우 일반 차량으로 가능합니다 퀵은 못오고요 (고속도로) 물건 받는 창고나 담당자는 매번 다를수 있으므로 확인하는게 좋습니다
간접수출 인증수출자 문의
A라는 업체에서 물건을 구매해서 독일로 수출하고 있는데, 독일에서 원산지증명서를 요구받았습니다. 알아보니 유럽은 원산지증명서가 아닌 인증수출자 번호로 하고 있다고 하더라구요. ​ A라는 업체에 원산지포괄 확인서를 받아서 저희가(수출자) 품목별 인증수출자를 신청하면 된다고 하던데 맞나요?​
품목별인증수출자로 신청하기 위해서는 해당 물품이 한EU FTA 원산지결정기준을 충족했음을 입증 받아야 합니다. 그래서 제조사에게 원산지(포괄)확인서를 기본적으로 받아야 하며, 충분할 정도의 공정 여부를 확인 받기 위해서 제조공정도 역시 받아야 할 것입니다.
한-캐나다 FTA 작성 방법 문의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 제가 아세안쪽 기관 발급만 진행해봤었는데 한-캐나다 FTA 발급은 처음입니다. 이전 전임자가 인수인계도 없었고, 바이어측에서 아이템 2개를 추가해서 발행해달라고 하는데 FTA 포털에서 양식을 다운 받은 후 제출을 어떻게 하면 되나요?
1. 한캐나다 FTA C/O는 자율발급 방식입니다. 수출자께서 제조사로부터 원산지(포괄)확인서를 받아서 한국에서 제조된 물품이 한캐나다 FTA 원산지결정기준을 충족했다고 확인 받으면 자율적으로 아래와 같은 양식을 발행하시면 됩니다. 2. 다음은 한캐나다 FTA 운영지침이니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FTA원산지증명서 포워딩업체 VS상공회의소
안녕하세요. ​ 한-중 FTA원산지증명서를 발급해야하는데 모르는게 많아 질문 남깁니다. ​ 포워딩업체인 관세사(?)통해서 발급받는 FTA원산지증명서와 상공회의소를 통해 발급받는 FTA원산지증명서가 같은건지 다른건지 궁금합니다. 거래처에서 포워딩업체에서 발급해주는 FTA원산지증명서를 원하고있어서요. ​ 상공회의소에서는 비용이 저렴하던데, 관세사는 건당 금액이 천차만별인거같더라구요...
직접 발급 하세요 어렵지 않아요. 관련 자료만 있다면,직접신청하시는것이 쉬워요,처음이 어렵지...
원산지증명서에 금액이 기재되면 안되는 이유 여쭙습니다.
안녕하세요, 원산지증명과 관련된 일을 하고 있는 직장인입니다. ​ 원산지증명서에 금액관련된 정보가 기재되면 안된다고 알고 있는데 ​ 혹시 그 이유가 어떠하여 원산지증명서에 금액이 기재가 되면 안되는지 궁금합니다.
저도 알아본적은 없지만 그냥 생각해보면 해당제품의 원산지만 국가공인기관에서 인증을 해주는것이지 이 제품이 얼마다 라는것 까지 인증은 당연히 안될거라 생각합니다. 판가는 주관적인 것인데 인증기관에서 판가까지 해줄리는 없지요.비엘도 대부분 선사에서는 금액을 기재못하게하는데 (인도같은 국가에서 요청하는 필수사항이 아니라면) 같은이유입니다
특송으로 무상샘플을 수입하는데 관부가세 얼마나 나올지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 기존에 계속 거래하던 제품이긴 한데 제품 가격이 엔드유저 별로 다릅니다. 그래서 관부가세 가늠을 할 수가 없는데, DAP 조건이라면 관부가세 얼마나 나올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해외 제조사에 문의를 해서 너네 인보이스에 얼마로 쓸거야? 하고 묻는 방법 밖에 없는지요ㅠ) ​ 샘플은 제품은 무상, 운송비용만 나중에 별도로 청구받을 예정입니다. ​ 도와주세요~!
인보스이 금액 및 hs code 확인이 필요합니다. 관세혜택이 되는 제품이라면 원산지 증명서 필요하구요.
수출 제조업에서 수입하려고 할때
기계제조업에서 수출업무 담당하고 있는데요.. 저희는 수출만 하고 있습니다. 이전에 부품 수입한 적이 없는데 수출업처럼 수입업도 따로 신고해야하나요? ​ 아니면 수출하듯 계약한 뒤에 보험, 물류, 수입 관세신고 업체 통해 진행하면 되나요? 거래는 T/T , FOB로 진행하려고 합니다. ​ 수출은 신용장거래만 하고 T/T도 해본적이 없는데, 계약서상에 납기 후 지불 조건으로 작성하고 은행통해 송금하면 되는지 궁금합니다..
수출업/수입업 따로 신고하지 않고, 하나의 통관고유부호로 수출입 모두 신고합니다. 그 외 말씀하신 사항대로 진행하시면 됩니다.
CFR CY의 의미
안녕하세요 혹시 CFR CY 가격조건이 무슨 뜻인지 알 수 있을까요? 인코텀즈 뒤에 FO, FI는 봤어도 CY는 컨테이너 야드만 단순히 의미하는거면 큰 의미가 없는것 아닌가 싶어서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CFR 뒤에는 수입지 항구 혹은 수입지 공항이 지정됩니다. 물론 FCL의 경우는 CY to CY 조건으로서 수입자가 수입지 CY에서 컨테이너 단위 화물을 인수하지만 이러한 운송 term과 인코텀스는 별개로 보셔야 합니다. 따라서 CFR 뒤에는 수입지 항구 CY가 기재된다기 보다는 수입지 항구명만 기재되고, 수입지 항구에 선박이 접안하는 시점부터 발생된 비용은 수입자에게 청구됩니다.
CIF 수입시 선사비용
CIF수입시 선사비용을 즉시 지불해야 DO발급후 물건을 찾을수 있다고 하는데요. ​ 그래서 수입들어올떄마다 선사비를 바로바로 지불해달라고 요청하는데,, ​ 저희는 내부상 마감후 30일뒤에 지급하는데, 이렇게 되면 업체에서 어렵닥도 하는데 ​ 다른회사도 이런 수입 선사비의 경우는 바로바로 지불하나요?
선사 비용은 무조건 선납입니다 이런 경우 보통 관세사나 포워더에서 대납하고 업체 마감에 맞춰서 청구합니다 또는 선수금을 관세사나 포워더에 지급하고 사용하는 방법도 있는데 비추천합니다 그이외에는 방법이 없습니다
실제총중량과 수출신고 총중량 오차...
안녕하세요, 가입하자마자 질문부터 드려 죄송합니다. 갑작스러운 담당자님의 퇴사로 왕신입인 제가 업무를 맡게 되었습니다. ​ 이번에 수출신고를 했는데 총중량을 잘 못 기입한 것 같습니다. 실제총중량은 110키로 정도 되는데 신고는 35키로로 해버렸네요.. ​ 다만 일본에서 구입하시는분이 직접 인천공항에서 수출면장을 제출하고 가져가셨습니다. 중량에 대한 오차범위내에서는 허용이 된다는데 문제가 될까요...?​
항공은 100키로 이하 50%, 이상은 30% 차이나면 안됩니다. 반입되어 나오는 중량을 확인 하시어 정정하여야 합니다.
플라스틱 파레트를 재사용해서 수출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 미국에 필터를 수출하려고 합니다. ​ 필터 박스가 좀 많다보니, 파레트위에 쌓아서 나가야할 것 같은데.. ​ 회사에 다른 제품 입고시 쓰였던 파레트가 있어서요! ​ 플라스틱 파레트를 재사용해서 수출해도 되나요? ​ 파레트 가운데 부분에 (주) *** (회사이름) 적혀져있어요 ㅎㅎ 상관없을가요?
플라스틱 팔레트의 소유권이 귀사에게 있으면 재사용해서 다른 화물 수출에 활용 가능할 것입니다. 만약 목재 파레트라면 ippc mark가 있어야 하며 그렇다면 역시 재사용하여 수출 가능할 겁니다.
경과보관료 연장 문의드립니다
터미널에 메일로 문의 하였습니다 (한진해운부산터미널) ​ 화주 직정산이 아닌 저희 터미널은 선사로 청구 되는 건입니다. 관련 비용 및 기타 문의는 해당 선사에 문의하시면 되오며 선사 D/O에 맞게 반출 진행하시면 됩니다. 라고 답장이 왔어요 ​ 고려해운에 경과보관료 연장신청하면 되나요? 현수 정산 서비스 조회시 0원 나옵니다 고려해운에 전화를 해봤더니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라는거같은데 ​
이경우 선사 프리타임을 연장 받으면 CY경과보관료도 같이 연장되는 시스템인가보네요. KMTC 사이트에 프리타임 연장신청하는 항목이 있으니 거기서 요청하시면 됩니다.
까르네 항공 수입 통관 질문이요
갑자기 파트너로 부터 까르네 항공 수입 서류를 받았고요 이미 일요일에 도착한 화물입니다 근데 까르네는 제가 처음 핸들링 해보는데 회사에서도 알려주시는 분이없어요,, 관세사측에서는 원본비엘이 필요하다고 하는대 이게 유럽에서 오는건인데 그럼 원본비엘 대기해야하나요? 그럴경우 계속 물건 창고보관시 창고료는 어떻해야할지 물건은 80키로고 샘플건입니다
항공이면 인천공항 해당 사무실에 어태치 된 서류 있을거에요 그거 수령해서 까르네 원본가지고 인천공항세관에서 직접 까르네에 도장받고 화물 수령하시면 됩니다.
한-인도 CEPA 원본과 수입자 송부용 차이
안녕하세요~ 한-인도 CEPA 결제 후, 출력하려고 하는데 아래처럼 원본과 수입자 송부용 차이가 뭔지 아시는 분 계실까요? 바이어에게 원본&수입자 송부용&사본 이렇게 보내주면 되는걸까요?
한인도 CEPA는 총4부가 발생되는데 원본은 상부 중앙에 Original 이라고 표시되고 수입자가 받아서 인도세관에 제출합니다. 수입자 송부옹은 상부 중앙에 Triplicate라고 표시되고 인도 수입자가 송부받아서 보관합니다. 그외 Duplicate 는 세관 보관용이라 출력이 안되고 Quadruplicated는 수출자 보관용이니 출력한거 보관하면됩니다. 내묭은 상부 중앙 표시 제외하고 전부 동일합니다.
수출자 홍콩, 수입자 한국 C/O관련 문의
​안녕하세요 ​​ 중국에서 수입 예정입니다, 수출자는 홍콩에 위치하고 있고 선적은 중국 WEIHAI에서 진행합니다. ​ 1. 홍콩 담당자에게 C/O발급 요청했는데, 한-중 FTA로 체결가능한가요? ​ 2. 추가로 C/O는 언제 발급 가능한가요?
중국에서 선적해서 국내로 반입하는 경우 한중FTA가능합니다 CO는 중국에서 발행합니다(B/L ,PK, CO) 계약은 홍콩이라 하였어도 가능합니다(IN발행) 선적전에하는 것이 오른 방법이지만 선적후 발행도 가능합니다 CO발행이 많이 늦어지는 경우 실행세율로 먼저 수입신고 수리하여 물품을 받고 1년이내에 CO첨부해서 환급 가능합니다
분증 관련
​저희 회사가 A사로부터 물품을 수입하고, B사에게 공급해왔습니다. ​ 최근 B사로부터 분증 요청을 받아, 구매처인 A사쪽에 수입신고필증 요청을 한 상태인데요, ​ 예를들어 A사로부터 총 10번에 거쳐, 10,000kg을 구매했는데, 실제로 B사에는 200kg 만 공급했습니다. 이럴 경우 A사쪽에 총 10건의 수입신고필증을 요청하는게 맞는건가요??
분증 발행시 수입필증기 기초가되지남 실제 지급한 세금 계산서 만큼만 발행가능합니다 10,000에 대하여 분증을 발행할수 있지만 분증 발행시 세금 계산서가 첨부되므로 200만 발행 가능할거 같습니다
항공 수입(샘플), 항공 수출의 경우(샘플) 샘플가격을 어떻게 해야하나요??
항공 수입의 경우(샘플)와 ​ 항공 수출의 경우(샘플) 샘플가격을 어떻게 해야하나요?? 그리고 DHL, FEDEX로 진행할 경우, 통관진행을 꼭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 필요서류는 어떤게 있을까요? ​ 예전 기억에는 P/L만 줫던것 같은데... 딴곳에는 I/V, P/L 모두 작성하시더라구요... ​ 보통 어떻게 처리하시나요?? 어떤 방법이 보편적이고, 정석인지 알려주세요 !!​​
샘플도 판매 가격과 동일하게 기재하는 것이 맞습니다 유상, 무상은 대금 지급 여부이지 제품의 금액이 달라지는 것은 아닙니다
수출할때 언더밸류 요청하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저희가 수출자입니다. 수입자가 언더밸류를 요청했습니다. 1만원짜리 1000개를 구매한다 했을때 수입자는 500만원씩 2번 송금합니다. 저희는 5000원짜리 1000개를 수출신고하고 나머지 500만원은 브랜드 사용료로 신고할 경우 문제가 되나요?
한국 세관에 수출신고할 때는 정상가로 신고하시고 2회에 걸쳐서 결제받으시면 됩니다. 따라서 정상가 c/i를 발행하여 수출신고하시고, 수입자에게는 정상가 c/i와 under value c/i를 모두 전달하시고 수입지에서 문제는 수입자의 책임으로 통지 해 두시면 될 것입니다.
CE 인증 샘플 관련
​장난감 샘플 1개 A4 크기만한것 보내려고 하는데요, 내부 건전지 및 인화성 물질은 없는데, CE 마크가 붙어있어야 발송할 수 있다고 들었습니다. ​ 수출용으로 진행할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장난감 gift로 해서 보내면 CE 서류 없어도 보낼 수 있을까요?
수취인이 개인으로서 자가사용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수입하거나, 수취인이 사업자로서 판매를 목적으로하지 않는 샘플(견본품)으로 사용한다면 소량의 소액 건에 대해서는 CE 마크가 없더라도 인수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이것은 상대국의 상황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수취인 혹은 특송사를 통해서 확인 해 보셔야 할 듯합니다.
수출거래구분 관련 문의
​안녕하세요. ​ 해외에서 수입해온 제품을 국내에서 유통하는데, 제품 수리를 위해 해외로 반출 후 수리한 뒤에 다시 재수입하려합니다. 수출거래구분83 외국에서 수리,검사 목적으로 반출하는 물품 수출거래구분96 물품의 수리 또는 검사를 위하여 반출하는 물품 이 중에 어떤 거래구분을 적용해야하나요? ​ 관세사분께 여쭤봤는데 제대로 답변을 안해주셔서 문의드립니다
83은 재수입조건 수출에 사용되는 코드이며 대외무역법시행령 19조 2항 라호가 근거이고 96은 부수재화거래 수출에 사용되는 코드로 동법시행령 19조 2항 나호가 근거 입니다.
Tolerance 조항에 따른 LC 은행수수료
안녕하세요. ​ 수입 L/C를 개설하려고 하는데, 수출자로부터 아래 조항을 넣어달라는 요청을 받았습니다. - 39A: Percentage Credit Amount Tolerance to LC by indicate +/- 5% - 45: Description of goods/services to be +/-5PCT in both qty and total amount ​ Credit amount는 +/-5% 기준으로 수정하지 않고, 위 조항만 추가하려고 하는데, 이럴 경우에도 LC 은행수수료가 +5% 기준으로 은행에서 청구를 하게 되는지 문의드립니다.
개설수수료라면, 개설은행에 "신용장금액 상하 10% 이내 과부족을 허용하는 조건인 경우, 표면금액에 대하여 수수료 징수"와 같은 기준이 있을 겁니다.
Final Invoice 발행 시점?
안녕하세요, 러시아 수출을 준비 중인 초보 수출러입니다. ​ 인코텀즈 EXW 로 계약을 진행 중입니다. 잔금 지급 시기를 Final Invoice 발행 시점으로부터 60일 이내로 이야기하는데, 그럼 저희 창고에서 제품을 인수해가는 시점에 Final Invoice 를 발행하면 될까요? ​ 참고로 제품을 인수해가는 시점에 오너쉽은 구매자로 전환됩니다.
final invoice라는 개념은 생소합니다. 계약 후에 계약 물품과 가격이 확정되면 c/i는 바로 발행합니다. 결제시점은 c/i 발행하실 때 기산일을 기준으로 언제까지 결제하라는 문구를 기재하시면 됩니다. 예를들어 payment term : 60 days after 25th Aug. 2023.
LC 오픈 어떤 전산망 이용하시나요?
안녕하세요 저는 현제 LC 오픈 할때 은행전산망에서 WEB개설 하고 있는데, ​ 다른 직원분께 LC 오픈 업무를넘기려니 은행모든 권한을 위임해야하는 문제가 있어서 (공인인증서, OTP을 주어야함) 다른 전산망을 통해 LC를 오픈 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 있는 중입니다. ​ 보통 직원을 통해 LC오픈 업무를 맡기면 유트레이드허브를 쓰나요? 공인인증서만 있으면 직원이 개설가능할까요? ​ 현재 LC 오픈 업무 하시는분들 어떤 전산망 통해 개설하시나요?
저는 과거에 유트레이드허브 사용했는데 아주 편하게 잘 사용했습니다.
lc 개설신청서 작성시 유효기간 및 마지막 선적일자
오퍼상과 협의하고 오퍼시트를 받아 작성하는데,유효기간과 선적일을 적는데,이게 길면 길수록 누가 안좋은건가요?? ​ 얘기들어보니 수수료같은게 드는거같던데,그런 부분 관련해서 여쭤봅니다.
개설일부터 E/D까지의 기간에 대해서 개설은행은 개설수수료를 수입자에게 청구합니다. (신용장 총액 x 환율 x 요율 x 개설일부터 E/D까지 기간 / 360) 그래서 개설일부터 E/D까지의 기간이 늘어나면 늘어날 수록 수입자에게 좋을 게 없습니다. S/D(선적기일)은 E/D보다 앞서야 합니다.
해상 FCL 수입 (은행LC)시 CFR조건으로 화재보험을 들어 은행에 제출하라고 하는데 어떻게해야하나요?
해상 FCL 수입으로 은행에 LC오픈을 했습니다. 조건은 CFR부산으로 은행에서 화재보험을 저희(수입자)가 들어야한다고 가입해서 영수증을 은행에 제출하라고 하는데 어떻게해야하나요? 어디회사에 어떤이름으로 문의해야하는지? (수입해상보험 이렇게 치니 이상한것만나와서요)
화재보험이 아니라 적하보험 가입을 은행이 요구할 것입니다. FOB와 CFR의 위험분기점은 동일하게 on board 지점인데 이러한 조건하에서 신용장 개설신청하면 개설은행에서 적하보험 가입을 수입자에게 요청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출고지=작업지 문의
안녕하세요 FCL DIRECT 의 경우 출고지가 컨테이너에 화주네 물건넣는 작업지인가요..?
기본적으로 그렇겠지만 체크는 해 보시기 바랍니다. FCL이지만 수출자의 공장/창고에 엠티 컨테이너 가져와서 작업하지 않고, 화물은 수출자의 공장/창고에서 일반 트럭으로 출고하여 CFS에서 엠티 컨테이너에 화물 적입 작업하기도 합니다. 아니면 1개 shipper이지만 제조사가 2곳일 때 제조사 1곳으로 엠티 컨테이너를 보내고 다른 제조사의 물품을 트럭으로 컨테이너 작업지 제조사로 이동하여 혼재해서 fcl로 진행할 수도 있고요. 상황에 따라서 다를 수 있습니다.
반송보세 면허 관련
안녕하세요. ​ 현재 아래와 같이 진행되는 건이 있는데, 포워딩 쪽에서 반송보세 면허를 진행하냐고 물어보시더라구요. 반송보세 면허가 무엇인가요?? 저는 그냥 수출 면허만 진행하는 게 맞을까요? ​ 국내 A업체 -> 당사 -> 해외 업체에 수출 ​ 저희는 국내 A 업체에서 구매하지만, A 업체는 물품을 해외에서 구매하여 수입 통관 진행한 후 저희에게 판매하였습니다.​
A업체가 수입 통관 진행을 했다면 이미 내국물품이므로, 다시 수출신고를 하셔야 진행할 수 있습니다. 반송신고는 우리나라에 도착한 외국물품이 수입 통관절차를 거치지 않고 다시 외국으로 반출할 때 하는 것입니다.
반송신고 후 컨테이너재작업
안녕하세요 ​ FCL채로 수입되고 있는 물품이 있는데, 물품 그대로 제3국으로 반송할 예정입니다. 그런데 수출시 선사가 바뀌어 컨테이너를 재작업해야한다고 합니다. CY반입시 반송면허부터 먼저 진행하고, 보세운송신고 진행하여 인근CFS에서 컨테이너 재작업이 가능할까요? (반입될 터미널에서 작업할 공간이 없다고 하네요)​​
반송신고는 CFS에서 기존 컨테이너로부터 화물 적출하여 새로운 선사에게 booking하고 새로운 empty 컨테이너 픽업하여 컨테이너 작업 종료한 상태에서 진행하셔도 될 겁니다. 다음은 반송 진행되는 절차에 대한 설명이니 참고 해 주세요.
호주로 수출건, 원산지 증명서 자율방급
저흰 호주로 악세사리 쥬얼리(고가 아님)를 수출하는 업체입니다. - 메이드인코리아 제품을 수출 ​ 호주 바이어가 갑자기 country of origin서류를 보내줄 수있냐고 문의가 와서 찾아보니, 한국-호주 간 자율방급이 가능하던데요,, ​ 1.그럼 제가 그냥 서류 다운받아서 작성해서 보내주면 되는건가요? ​ 2.저희는 인증수출자 뭐 이런 건 아닌데 자율발급 해줘도 되는건지?,,,궁금합니다~~!!​
인증수출자가 아니더라도 수출하는 제품이 한-호주 FTA 원산지 결정기준(해당 제품의 HS code별)에 충족한다면 발급가능합니다.
DHL 수출시 B/L
DHL을 통해서 인도로 수출 했습니다 인도측에서 비엘을 요청합니다 고객센터에서 운송장 (AWB)을 받아서 전달 하였습니다 그런데 꼭 Bill of entry OR BOL 을 보내달라고 하는데 어떤걸 보내줘야 하는건가요? 도와주세요 제발~
bill of entry는 수입신고서입니다. 인도는 21년 초부터 입항전 수입신고가 의무화 되었고 해상 선박은 도착일(휴일 포함) 1일 전까지, 항공은 화물 도착일가지 수입신고해야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과태료가 발생됩니다. 특송 건도 이러한지 모르겠지만 아마도 이러한 내용때문에 bill of entry를 미리 요구하는 것이 아닐까 추측해 봅니다.
BL에 cbm 미기재 시 문제가 되나요?
안녕하세요 무역 쌩초보입니다ㅠ ​ 삼국거래 진행중이고 이탈리아(수출자)-한국(본인)-중국(수입자) 인 경우입니다. ​ 이탈리아에서 bl에 cbm을 기재를 안해줬는데 패킹리스트에는 적어놔서 이걸로 통관하면 안되겠냐고 하네요.. 배는 이미 출항을 한 상황이라 bl에 cbm 추가하는데 80유로나 달라고 합니다. cbm이 빈칸이면 중국에서 통관하는데 문제가 될까요?​
b/l에 cbm이 기재되지 않았다고 해서 문제되지는 않을텐데요. 수입국이 중국이니 포워더 쪽으로 확인 해 보시기 바랍니다~ 한국이 수입지일 때는 크게 문제 없어 보입니다.